본문 바로가기
IOT

GET vs POST, 언제 어떤 메서드를 써야 할까?

by PixelLogic 2025. 7. 19.
웹 개발을 하다 보면 GET 요청과 POST 요청을 자주 보게 됩니다.
둘 다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방법인데, 언제 GET을 쓰고 언제 POST를 써야 할까? 헷갈리기 쉽죠.

오늘은 GET vs POST 차이를 아주 쉽게 설명해 볼게요!


1️⃣ HTTP 요청이란?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이거 좀 해주세요!” 하고 요청을 보내는 방식이에요.

  • 네이버 검색창에 “날씨” 입력 → 서버에 날씨 알려달라고 요청
  • 쇼핑몰에서 장바구니 담기 → 서버에 상품 저장해 달라고 요청

이때 어떻게 요청할지 방식을 정한 게 HTTP 메서드예요.
그중에서 가장 많이 쓰는 게 GETPOST입니다.


2️⃣ GET 요청이란?

서버에서 데이터 가져오기

  • 주소(URL)에 요청 내용을 붙여서 보냄
  • sql
    복사편집
    GET /search?query=날씨
  • 서버는 요청을 받고 **결과(응답)**만 돌려줌

👉 검색, 조회, 읽기에 많이 사용!


3️⃣ POST 요청이란?

서버에 데이터 보내기

  • 요청 내용을 **주소가 아닌 본문(Body)**에 담아서 보냄
  • css
    복사편집
    POST /login Body: { "id": "jon", "password": "1234" }
  • 서버는 데이터를 받아서 저장/처리하고 결과를 반환

👉 회원가입, 로그인, 글쓰기처럼 데이터를 변경/저장할 때 사용!


4️⃣ 쉽게 비유하면?

  • GET = “메뉴판 보여주세요!”
    • 그냥 보고만 오는 것 (읽기)
  • POST = “이 메뉴 주문할게요!”
    • 서버가 새로운 작업을 해야 함 (변경/저장)

5️⃣ GET vs POST 차이 표

구분 GET POST
목적 데이터 조회 데이터 전송/변경
데이터 위치 URL에 포함 요청 본문(Body)에 포함
보안 낮음 (주소에 다 보임) 상대적으로 안전
캐싱 가능 (브라우저 기록됨) 불가능
사용 예 검색, 글 목록 조회 로그인, 글 작성
 

6️⃣ 언제 뭘 써야 할까?

데이터를 조회만 할 때GET
데이터를 변경/저장해야 할 때POST

예:

  • 블로그 글 보기 → GET /posts/1
  • 블로그 글 작성 → POST /posts

7️⃣ 간단 정리

GET → 서버에서 데이터 가져오기
POST → 서버에 데이터 보내기/저장하기
✔ 중요한 정보(비밀번호 등)는 절대 GET에 담지 말기

GET 은 주소줄에 내용이 표시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DNS와 도메인, 그리고 호스팅의 관계
를 초보도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설명할게요!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