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을 공부하다 보면 **“REST API”**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API는 알겠는데… REST가 뭐지?” 하고 헷갈리기 쉽죠.
오늘은 초보바들에게는 약간 어려운 주제일수도 있겠지만 기본적인 개념이 꼭 필요하기 때문에 API → REST → REST API 순서로 아주 쉽게 풀어볼게요!
1️⃣ API가 뭔가요?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줄임말이에요.
👉 프로그램끼리 대화할 수 있게 해주는 규칙
예를 들어,
- 날씨 앱이 기상청 서버에 “서울 날씨 알려줘” 요청
- 카카오톡 로그인 시 내 앱 → 카카오 API → 카카오 서버
즉, 내가 직접 서버를 만지지 않고, API라는 ‘통로’를 통해 데이터 사용
2️⃣ REST란?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 API를 설계할 때 지켜야 할 규칙을 말해요.
쉽게 말해, **“API를 깔끔하고 일관성 있게 만드는 방법”**이라고 보면 돼요.
3️⃣ REST API란?
REST 규칙을 지켜서 만든 API
예를 들어, 블로그 글 관리 API가 있다면,
✅ 자원을 URL로 표현
GET /posts → 글 목록 가져오기
GET /posts/1 → 글 상세 보기
POST /posts → 새 글 작성
PUT /posts/1 → 글 수정
DELETE /posts/1 → 글 삭제
✅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로 행동 구분
✅ 서버는 요청에 맞는 응답만 돌려줌 (상태 저장 X)
4️⃣ REST API 특징
✔ 일관된 규칙 → 누구나 쉽게 이해 가능
✔ 클라이언트·서버 분리 → 모바일/웹/데스크탑 어디서든 사용 가능
✔ 무상태(Stateless) → 서버가 사용자 상태 기억 X → 확장성 ↑
5️⃣ 쉽게 비유하면?
- API = 레스토랑 웨이터
- REST API = “메뉴판을 표준화한 웨이터”
👉 메뉴판(URL)만 보고도 주문(GET), 신규 등록(POST), 수정(PUT), **삭제(DELETE)**가 명확
6️⃣ REST API vs 일반 API
구분 일반 API REST API
구분 | 일반 API | REST API |
설계 규칙 | 자유로움 | REST 규칙 따름 |
URL 구조 | 제각각 | 자원 중심(리소스) |
HTTP 메서드 | 임의 | GET/POST/PUT/DELETE 표준화 |
이해도 | 어렵거나 불명확 | 일관돼서 쉽고 직관적 |
7️⃣ 정리
✔ API = 프로그램끼리 대화하는 통로
✔ REST = API를 설계하는 규칙
✔ REST API = REST 규칙을 따른 깔끔한 API
다음 글에서는 REST API 응답(JSON)과 상태코드(200, 404, 500)를 쉽게 설명해볼게요!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
'I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 일반인도 쉽게 쓰는 활용 가이드 (8) | 2025.07.20 |
---|---|
개인 - 애드센스 세금정보 설정 후기 – 싱가포르 & 미국 원천징수 0%로 만드는 방법 (1) | 2025.07.20 |
GET vs POST, 언제 어떤 메서드를 써야 할까? (0) | 2025.07.19 |
쿠키 vs 세션 vs JWT, 로그인 상태는 어떻게 유지될까? (0) | 2025.07.19 |
HTTP vs HTTPS, S 하나 차이로 뭐가 달라질까? (3) | 2025.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