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OT

REST API가 뭔가요? 초보도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설명

by PixelLogic 2025. 7. 19.
개발을 공부하다 보면 **“REST API”**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API는 알겠는데… REST가 뭐지?” 하고 헷갈리기 쉽죠.

오늘은 초보바들에게는 약간 어려운 주제일수도 있겠지만 기본적인 개념이 꼭 필요하기 때문에 API → REST → REST API 순서로 아주 쉽게 풀어볼게요!


1️⃣ API가 뭔가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줄임말이에요.

👉 프로그램끼리 대화할 수 있게 해주는 규칙

예를 들어,

  • 날씨 앱이 기상청 서버에 “서울 날씨 알려줘” 요청
  • 카카오톡 로그인 시 내 앱 → 카카오 API → 카카오 서버

즉, 내가 직접 서버를 만지지 않고, API라는 ‘통로’를 통해 데이터 사용


2️⃣ REST란?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 API를 설계할 때 지켜야 할 규칙을 말해요.

쉽게 말해, **“API를 깔끔하고 일관성 있게 만드는 방법”**이라고 보면 돼요.


3️⃣ REST API란?

REST 규칙을 지켜서 만든 API

예를 들어, 블로그 글 관리 API가 있다면,

자원을 URL로 표현

GET /posts → 글 목록 가져오기
GET /posts/1 → 글 상세 보기
POST /posts → 새 글 작성
PUT /posts/1 → 글 수정
DELETE /posts/1 → 글 삭제

✅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로 행동 구분
서버는 요청에 맞는 응답만 돌려줌 (상태 저장 X)


4️⃣ REST API 특징

일관된 규칙 → 누구나 쉽게 이해 가능
클라이언트·서버 분리 → 모바일/웹/데스크탑 어디서든 사용 가능
무상태(Stateless) → 서버가 사용자 상태 기억 X → 확장성 ↑


5️⃣ 쉽게 비유하면?

  • API = 레스토랑 웨이터
  • REST API = “메뉴판을 표준화한 웨이터”

👉 메뉴판(URL)만 보고도 주문(GET), 신규 등록(POST), 수정(PUT), **삭제(DELETE)**가 명확


6️⃣ REST API vs 일반 API

구분 일반 API REST API

구분 일반 API REST API
설계 규칙 자유로움 REST 규칙 따름
URL 구조 제각각 자원 중심(리소스)
HTTP 메서드 임의 GET/POST/PUT/DELETE 표준화
이해도 어렵거나 불명확 일관돼서 쉽고 직관적

7️⃣ 정리

API = 프로그램끼리 대화하는 통로
REST = API를 설계하는 규칙
REST API = REST 규칙을 따른 깔끔한 API


다음 글에서는 REST API 응답(JSON)과 상태코드(200, 404, 500)를 쉽게 설명해볼게요!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