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 주소를 보면 http:// 로 시작하는 경우도 있고,
https:// 로 시작하는 경우도 있죠.
“뒤에 S 하나 붙은 게 뭐가 그렇게 다르길래 중요할까?”
오늘은 HTTP vs HTTPS 차이를 아주 쉽게 설명해 볼게요!
1️⃣ HTTP가 뭔가요?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이에요.
👉 쉽게 말하면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규칙이에요.
- 내가 웹 브라우저에서 네이버 접속 → 서버에 요청 보내기
- 네이버 서버가 HTML, CSS, 이미지 파일 응답
- 브라우저가 그걸 받아서 화면에 보여줌
즉, **“브라우저와 서버가 대화하는 방식”**이 바로 HTTP입니다.
2️⃣ 그런데 HTTP에는 문제가 있다
HTTP는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기 때문에 중간에 누가 가로채면 내용이 다 보입니다. 😨
예를 들어,
- 로그인할 때 입력한 아이디/비밀번호
- 쇼핑몰에서 입력한 개인정보와 카드번호
이게 그대로 노출될 수 있어요.
👉 그래서 보안이 취약하다는 게 문제!
로컬 개발자 모드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HTTPS는 뭘까?
HTTPS = HTTP + S(Secure)
즉, HTTP에 보안(암호화)을 추가한 버전이에요.
HTTPS는 SSL/TLS 인증서를 사용해서
👉 브라우저 ↔ 서버 간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주고받습니다.
그래서 누가 중간에서 가로채더라도 내용을 알아볼 수 없음!
4️⃣ 쉽게 비유해 볼까요?
- HTTP = 편지를 그냥 봉투 없이 보내는 것
- 우체부가 편지 내용을 다 볼 수 있음
- HTTPS = 편지를 자물쇠 달린 봉투에 넣어 보내는 것
- 중간에서 열어보려 해도 열 수 없음
5️⃣ 왜 HTTPS가 중요한가?
✅ 로그인·결제 등 개인정보 보호
✅ 검색엔진(구글, 네이버) SEO 가산점
✅ 브라우저 경고창 방지 (“이 사이트는 안전하지 않음”)
그래서 요즘은 모든 사이트가 HTTPS로 전환하고 있어요.
6️⃣ HTTP → HTTPS로 바꾸려면?
- SSL 인증서 발급
- 무료: Let’s Encrypt
- 유료: Comodo, DigiCert 등
- 서버에 SSL 설치
- Apache, Nginx 설정
- HTTPS 리다이렉트 적용
👉 요즘은 클라우드 서버(Vultr, AWS)나 호스팅 서비스에서 원클릭으로 HTTPS 적용도 가능해요!
7️⃣ 간단 정리
✔ HTTP = 보안 없는 통신 (그냥 주고받기)
✔ HTTPS = 암호화된 통신 (보안 강화)
✔ HTTPS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
이제 웹사이트 주소 볼 때 **https://**로 시작하는지 꼭 확인하세요! 🔒
다음 글에서는 SSL 인증서가 뭔지, 무료로 설치하는 방법도 쉽게 알려드릴게요.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
'I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T vs POST, 언제 어떤 메서드를 써야 할까? (0) | 2025.07.19 |
---|---|
쿠키 vs 세션 vs JWT, 로그인 상태는 어떻게 유지될까? (0) | 2025.07.19 |
제목 앞에 이모지 넣어도 검색 노출(SEO)에 지장이 있을까? (2) | 2025.07.19 |
프론트엔드 vs 백엔드 한 줄 정의 (1) | 2025.07.18 |
Visual Studio Code(VSCode)에 대한 유용한 플러그인을 소개 (0) | 2024.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