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

파이썬(Python), 초보 개발자가 가장 쉽게 배울 수 있는 언어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우고 싶은데, 어떤 언어부터 시작해야 할까요?”이 질문에 가장 많이 추천받는 언어가 바로 파이썬(Python)입니다.파이썬은 전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언어 중 하나이며,배우기 쉽고, 할 수 있는 게 정말 많기 때문이죠.오늘은 초급 개발자들이 파이썬을 배우면 좋은 이유와 활용 분야를 소개합니다.1. 파이썬은 왜 쉬울까?✔ 문법이 간단하다다른 언어는 { }나 ; 같은 기호가 많은데,파이썬은 사람이 쓰는 문장처럼 작성할 수 있어요.print("Hello, world!") # 한 줄만으로 출력 끝!✔ 한글 자료와 강좌가 풍부하다검색하면 유튜브, 블로그, 무료 강좌가 많아요.✔ 설치부터 실행까지 간단하다파이썬만 설치하면 바로 실행 가능!웹에서도 바로 코딩 테스트 가능(Colab, Re.. 2025. 7. 20.
ChatGPT, 일반인도 쉽게 쓰는 활용 가이드 AI가 어렵다고 느껴지셨나요?사실 ChatGPT는 검색보다 더 편하고 똑똑한 AI 비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개발자가 아니어도 누구나 쉽게 쓸 수 있어요.오늘은 일반인도 바로 써먹을 수 있는 ChatGPT 사용법과 꿀팁을 소개합니다.🧑‍💻 1. ChatGPT는 뭘 할 수 있나요?ChatGPT는 OpenAI가 만든 AI 대화 모델입니다.그냥 질문하면 바로 답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작업을 도와줍니다.정보 검색 & 요약→ 긴 글을 요약하거나 개념을 쉽게 설명글쓰기 & 콘텐츠 제작→ 이메일, 보고서, 블로그 글, 소셜미디어 글 자동 작성언어 번역 & 학습→ 영어 공부, 일본어 학습 파트너생활 정보→ 여행 계획, 요리 레시피, 일정 짜기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선물 아이디어, 마케팅 아이디어, 이름 추.. 2025. 7. 20.
개인 - 애드센스 세금정보 설정 후기 – 싱가포르 & 미국 원천징수 0%로 만드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구글 애드센스 **세금정보 설정**을 직접 진행하면서 겪은 과정을 기록해보려고 합니다. 처음엔 생각보다 복잡할 줄 알았는데, 차근차근 진행하니 어렵지 않았습니다.이번 글에서는 ✅ **싱가포르 세금정보(거주자증명서)** ✅ **미국 세금정보(W-8BEN)** 둘 다 설정해서 **원천징수 0%**로 만든 과정을 정리합니다. ✅ 1. 왜 세금정보를 설정해야 할까?구글 애드센스는 미국과 싱가포르에 있는 구글 법인에서 수익을 지급하기 때문에, 각 나라의 세금 규정을 적용받습니다.세금정보를 제출하지 않으면싱가포르 → 기본 10% 원천징수미국 → 기본 30% 원천징수즉, 세금정보를 설정하지 않으면 수익에서 자동으로 떼어갑니다.✅ 조세조약에 따라 면세 혜택을 받으려면싱가포르: 거주자증.. 2025. 7. 20.
REST API가 뭔가요? 초보도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설명 개발을 공부하다 보면 **“REST API”**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API는 알겠는데… REST가 뭐지?” 하고 헷갈리기 쉽죠.오늘은 초보바들에게는 약간 어려운 주제일수도 있겠지만 기본적인 개념이 꼭 필요하기 때문에 API → REST → REST API 순서로 아주 쉽게 풀어볼게요!1️⃣ API가 뭔가요?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줄임말이에요.👉 프로그램끼리 대화할 수 있게 해주는 규칙예를 들어,날씨 앱이 기상청 서버에 “서울 날씨 알려줘” 요청카카오톡 로그인 시 내 앱 → 카카오 API → 카카오 서버즉, 내가 직접 서버를 만지지 않고, API라는 ‘통로’를 통해 데이터 사용2️⃣ REST란?**REST(Representational State .. 2025. 7. 19.
GET vs POST, 언제 어떤 메서드를 써야 할까? 웹 개발을 하다 보면 GET 요청과 POST 요청을 자주 보게 됩니다.둘 다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방법인데, 언제 GET을 쓰고 언제 POST를 써야 할까? 헷갈리기 쉽죠.오늘은 GET vs POST 차이를 아주 쉽게 설명해 볼게요!1️⃣ HTTP 요청이란?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이거 좀 해주세요!” 하고 요청을 보내는 방식이에요.네이버 검색창에 “날씨” 입력 → 서버에 날씨 알려달라고 요청쇼핑몰에서 장바구니 담기 → 서버에 상품 저장해 달라고 요청이때 어떻게 요청할지 방식을 정한 게 HTTP 메서드예요.그중에서 가장 많이 쓰는 게 GET과 POST입니다.2️⃣ GET 요청이란?✅ 서버에서 데이터 가져오기주소(URL)에 요청 내용을 붙여서 보냄sql복사편집GET /search?query=날씨 서버는 요청.. 2025. 7. 19.
쿠키 vs 세션 vs JWT, 로그인 상태는 어떻게 유지될까? 웹사이트에 로그인하면 새로고침해도 그대로 로그인 상태가 유지되죠?“브라우저는 어떻게 내가 로그인한 걸 기억할까?”이때 등장하는 게 바로 쿠키(Cookie), 세션(Session), 그리고 요즘 많이 쓰는 **JWT(Json Web Token)**입니다.오늘은 이 세 가지의 차이를 아주 쉽게 풀어볼게요!1️⃣ 왜 로그인 상태를 저장해야 할까?HTTP는 **“요청하고 응답하면 끝”**인 단순한 통신 방식이에요.즉,내가 로그인한 뒤에도다음 요청 때는 “누가 요청했는지” 서버가 알 수 없음 😅그래서 사용자를 구분할 방법이 필요합니다.👉 그걸 해결하는 기술이 쿠키, 세션, JWT예요.2️⃣ 쿠키(Cookie)란?✅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작은 메모서버가 “이 사용자는 로그인했어”라고 쿠키를 발급브라우저는 쿠키를 .. 2025. 7. 19.